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울릉도 토종 약초의 생존 전략과 활용법

by 유용한정보세상 2025. 3. 26.

울릉도

 

울릉도는 대한민국에서 독립된 생태계를 가진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강한 해풍과 높은 습도, 화산지형의 척박한 토양은 식물들이 생존하기에 쉽지 않은 환경을 만든다. 그러나 이 환경 속에서도 수백 종의 식물이 자생하며, 그중 일부는 약효가 강한 약용식물로 오랜 세월 동안 울릉도 주민들의 민간요법에 사용돼왔다. 본토와 달리 울릉도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약초 문화가 외부와 단절된 채 고유하게 발전했다. 일부 식물은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며, 주민들은 관찰과 체험을 통해 축적한 지식을 구전으로 전승해왔다.

 

섬쑥부쟁이는 울릉도의 대표적인 고유종이다. 보랏빛 꽃이 피는 이 식물은 주로 산비탈과 해안가 근처에 분포하며, 꽃이 피기 전 채취한 어린잎이 약성이 뛰어나다고 전해진다. 주민들은 두통이 있을 때 말린 섬쑥부쟁이를 달여 마시거나, 가벼운 감기 증상에 활용했다. 이 식물은 강한 바람과 염분이 많은 공기 속에서도 생존하기 위해 수분 보존 능력을 발달시켰고, 이로 인해 생리활성 물질의 농도도 높게 유지된다. 최근에는 항산화 효과와 항염 작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며 기능성 식품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섬말나리는 울릉도 해발 500m 이상의 그늘지고 습한 지역에서 자라는 희귀 식물이다. 진한 향을 가진 이 식물은 과거 주민들이 생리통이나 심한 피로를 겪을 때 뿌리를 갈아 뜨거운 물에 타서 마시는 방식으로 사용했다. 짧은 생장 기간과 낮은 온도에서 버티는 생존 전략 덕분에 유효 성분이 높다고 전해진다. 최근에는 자생지 훼손으로 인해 보호 대상이 되었고, 외부 반출도 제한된다. 그러나 여전히 일부 고령자들은 채취 시기, 복용량, 보관법까지 체계적으로 기억하고 있으며 이 지식은 문서로 남겨지지 않은 채 존재한다.

 

비파나무는 본래 남부 지역에 많지만 울릉도에도 오랜 기간 재배되어 왔다. 기관지 질환, 감기, 천식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주민들은 비파 잎을 말려 차로 우려 마신다. 특히 해녀들은 물질 후 기침이나 가래가 생기면 따뜻한 비파차를 마셨고, 노인들은 겨울철 감기 예방을 위해 일상적으로 복용했다. 비파 잎에는 사포닌과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성분이 풍부해 항염, 항균 작용이 확인된다. 이 식물은 강한 바람에 잘 견디고 염분에 내성이 높아 울릉도 특유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생장한다.

 

지치는 울릉도 해안 절벽에서도 발견되는 약초로, 상처 치료와 간 기능 회복에 쓰여왔다. 뿌리를 달여 복용하거나 잎을 찧어 환부에 바르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주민들은 체력 저하나 간 피로가 누적되었을 때 지치 달인 물을 아침저녁으로 복용했으며, 특히 해산물 위주의 식사를 하던 가정에서 지치를 자주 사용했다. 이 식물은 일조량이 강하고 영양분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으며, 뿌리가 깊게 뻗어 바위틈에서도 자생이 가능하다. 울릉도에서는 지치가 일반 잡초처럼 보이지만, 민간에서는 귀한 약재로 취급되었다.

 

헛개나무는 숙취 해소 효과로 잘 알려져 있다. 울릉도에서는 본토보다 늦게 자생이 확인되었지만, 이후 약용 가치가 널리 알려지면서 가정에서도 줄기와 잎, 열매를 모두 활용하는 문화가 생겼다. 주민들은 잎과 열매를 함께 달여 물처럼 수시로 마셨고, 특히 명절이나 제사철처럼 음주가 잦은 시기에 많이 사용했다. 헛개나무는 척박한 토양에서도 생장이 가능하며, 수분 공급이 불규칙한 환경에서도 유효 성분을 유지하는 생존 전략을 지닌다. 울릉도 고지대나 경사진 곳에서도 잘 자라는 점은 이 식물의 적응력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울릉도의 약초 문화는 단순한 약재 채취를 넘어서, 환경에 대한 순응과 생존을 위한 지혜의 산물이다. 바닷바람, 척박한 토양, 짧은 생장 시기를 견딘 식물들은 약효 면에서도 강한 특징을 보이며, 주민들은 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오늘날 이 지식은 점차 사라지고 있지만, 여전히 구전으로 남아 있는 내용은 충분히 기록할 가치가 있다. 문서화되지 않은 전통 민간요법은 단순한 과거의 잔재가 아니라, 지역 생태와 인간의 관계를 가장 현실적으로 보여주는 기록물이다.